NICE KCB 신용점수 점수와 등급이 다른 이유

 우리나라에서 신용등급 점수를 산정하는 기관은 나이스신용점수(Nice), 올크레딧(KCB) 2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이 두 기관에서 각각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점수와 등급에서 차이가 발생하는데, 많이 차이나는 사람은 200점이 넘게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두 기관의 신용점수는 측정방식에 차이가 있기 떄문인데요. 왜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점수 평가항목

신용점수는 상환이력, 부채 수준, 신용거래 기간 및 형태, 비금융 정보를 종합해서 산정하게 됩니다. 

상환이력

상환이력응ㄴ 금융사 대출, 신용카드 사용, 세금 등 개인이 지급해야 하는 돈을 제떄 지불 또는 상환했는지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연체액 또는 미납금액이 크고, 기간이 길수록 신용점수에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부채 수준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채의 크기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금융권에서 발생한 대출과 납입해야 하는 신용카드 대금, 보증 채무액의 크기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신용거래 기간

신용거래 기간이란 신용카드와 대출 등의 신용거래를 얼마나 오랫동안 해왔는지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부채 수준과 다르게 금액의 크기보다 얼마나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거래를 해왔는지가 신용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신용거래 형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의 사용금액, 신용카드 할부금액, 현금서비스 이용금액 등 여러 신용거래를 얼마나 적절히 이용했는지를 기준으로 신용점수를 평가합니다. 

신용카드를 연체 없이 이용할 경우 신용에 긍정적인 영향르 주지만, 할부 또는 현금서비스를 과다하게 이용할 경우 신용평가에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비금융 신용정보 

대출, 카드 이용 외에 개인의 신용도를 확인하는 금융 분야 외 정보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통신비, 관리비 등을 밀리지 않고 제때 납부했는지를 기준으로 신용점수를 평가합니다. 

비금융 신용정보의 경우 소득금액증명을 제출하거나 납부와 관련된 자료를 별도로 제출했을 경우 신용점수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NICE KCB 평가항목 비교

NICE-KCB-신용점수-평가기준

두 신용평가 기관의 신용점수에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평가항목에 두는 비중이 서로 다르기 떄문입니다. 

위의 도표에서 보듯이 두 신용평가 기관에서 평가기준별 비중이 서로 다릅니다. 

NICE의 경우 현재 연체 및 과거 채무 상환이력에 큰 비중을 둔 반면, KCB에서는 신용거래 형태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